
다른 작가의 소설을 거의 모두 베껴서 자신의 작품처럼 공모전에 출품하고 5개의 문학상을 받은 사람이 있다. 원작자가 이를 밝힌 후에야 상을 준 주최 단체들이 뒤늦게 수상을 취소하겠다고 밝혔다.
지난해 포천시가 연 문학 공모전에서 최우수상으로 뽑힌 단편 소설이다.
당선자 손씨는 "매일 밤 틈틈이 써 내려가며 문학적 갈증을 해소했다"고, 소감도 남겼다.
그런데 이 글은 2년 전, 온라인에 공개된 소설을 통째로 베낀 작품이었다.
'뿌리'라는 제목부터 마지막 문장까지, 1만여 개의 글자 중 다른 건 몇몇 단어에 끼워 넣은 지역 이름뿐이다.
손씨는 이렇게 훔친 글로 다섯 개의 문학상을 탔고, 상금 270만 원도 챙겼다.
‘뿌리’ 원작 소설가 김씨는 “제 분신과도 같은 소설을…수상을 위한 어떤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 같아서 정말 마음이 많이 아팠다”고 말했다.
제목만 바꾸거나, 아예 원작 그대로를 응모했는데도 상을 준 주최 단체들은 작가가 피해를 알린 뒤에야 수상을 취소하겠다 밝혔다.
김씨는 “남의 글을 통째 훔친 사람도 기막히지만 통째로 베낀 작품을 전혀 걸러내지 못한 엉성한 심사 과정도 작가는 믿기 힘들었다”고 전했다.
또 김씨는 “전문이 올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, 정말 구글링만 해 봐도 바로 제 작품이 나옵니다”고 토로했다.
한 해 열리는 크고 작은 공모전은 약 300개다.
문단 내에선 수상 작품을 모아 표절을 가려낼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.
한국소설가협회 상임이사 김성달씨는 “거를 수 있는 장치가 약했다. 사실 거의 없다고 봐야 한다.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, 심사하면서 집어넣어 돌리는 방향이 돼야 할 것이다”고 전했다.
사건이 커지자, 글을 훔친 손씨는 "도용을 인정하고 법적 책임을 다하겠다"고 밝혔다.
[뉴스미란다 원칙] 취재원과 독자에게는 팩트코리아뉴스에 자유로이 접근할 권리와 반론·정정·추후 보도를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. 민원신청바로가기